본문 바로가기
경제 펀타임

강남구 5년만의 토지허가제 해지! 그 결과는??

by 스맛뜨펀타임 2025. 3. 21.
반응형

강남 토지허가 이미지

서울 강남 토지거래허가제 해제, 무엇이 바뀌었을까?

2025년 2월, 서울 부동산 시장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습니다.

바로 강남구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입니다. 이 조치는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, 부동산 시장의 흐름과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그 배경부터 시장 반응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
1. 토지거래허가제란 무엇인가?

토지거래허가제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일정 지역 내 부동산을 거래할 때 사전에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
예를 들어, 아파트를 사려면 직접 거주 목적임을 증명하고, 최소 2년 이상 거주해야 했죠.

이 제도는 2020년 6월, 부동산 과열이 극심하던 시기 도입되어 강남구 대치동, 청담동, 삼성동, 송파구 잠실동 등 대표적인 ‘핫플레이스’에 적용되었습니다.


2. 왜 해제되었나?

5년이 흐른 2025년 2월, 서울시는 이 지역들에 대한 토지거래허가제를 전면 해제했습니다.
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시장 과열 진정: 거래량이 급감하고, 집값 상승세도 둔화됨
  • 거래 정상화 필요성: 매매가 너무 막혀 시장이 비효율적으로 흐름
  • 수요자 중심 정책 전환: 억제보다는 활성화 방향으로 정책 기조 변화

3. 해제 이후 실제 변화는?

● 거래량 증가

허가제 해제 직전 3주간: 78건
해제 후 같은 기간: 87건
거래량이 서서히 살아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.

● 집값 소폭 상승

대표적으로 대치동 은마아파트 84㎡형

  • 해제 전: 26억 9천만 원
  • 해제 후: 27억 1천만 원
    약 2천만 원, 즉 0.7% 상승

지금까지의 가격 변화는 폭발적이지 않지만 꾸준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

4. 시장 반응은?

  • 긍정적 반응
    • 실수요자 입장에선 거래가 쉬워짐
    • 자금력이 있는 사람들은 더 적극적으로 매물 탐색
  • 우려의 목소리
    • 투자수요 다시 유입될 가능성
    • 인기 지역 중심으로 국지적 가격 상승 가능성

일부 전문가들은 “이번 해제가 시장에 숨통을 틔워줬지만, 투자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”라고 지적합니다.


5. 앞으로의 전망은?

  • 단기적으로는 거래량 증가 + 완만한 가격 상승
  • 중장기적으로는 금리, 정책, 경기 흐름 등과 맞물려 변동성 존재
  • 정부는 재지정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어, 시장 흐름이 지나치게 과열될 경우 다시 허가제가 도입될 수 있습니다.

정리하자면

항목해제 전해제 후
토지 허가 필요 O X
거래량 (3주 기준) 78건 87건
평균 가격 (84㎡) 26.9억 27.1억

조심스럽게 회복 중인 시장
향후 행보는 시장 반응에 달림

반응형